자료집
30여년, 풍부한 현장의 노하우를 전해드립니다.
관광산업축제 전문 컨설턴트
관광산업축제 전문 컨설턴트
1)현대의 축제는 향토문화축제와 관광산업축제로 분류하고 있다.
낭비의 축제라고 지탄받는 무대 중심형의 향토축제.
1차, 2차 산업의 붕괴로 인구의 감소 속에 절박함을 가지고 추진하는 콘텐츠형의 관광산업축제.
잘 만들어진 축제는 지역의 명소로서 브랜드 가치를 높여줄 수 있고 경쟁력 있는 도시로 만들 수 있다.
2)전문성과 경험의 부족 속에 작성되고 있는 기본계획, 실행계획, 홍보계획, 예산계획은 추상적인 관계로 절대 경쟁 속에서 살아남지 못할 것이다. 잦은 인사이동의 시스템에서는 전문성을 갖출 수 없는 관계에서는 전문가의 의견과 컨설팅을 받으며 함께 추진하여 가는 것이 바람직하다.
3)문화체육관광부에서 1996년부터 경쟁력 있는 축제의 육성을 위하여 정책을 펼쳤지만, 아직도 정착시키지 못하고 있는 이유는 무엇일까? 나름대로 발전은 되어 왔다고 할 수는 있지만, 정책 자체가 현실과 동떨어진 내용과 이론적인 자문, 컬설팅이 한몫하였다고 할 수 있다. 축제에 대한 진정성을 외면한 채 공정성만을 외치며 동떨어진 운영시스템이 문제인 것이다.
4)대한민국축제에 대한 이론과 실무에서 검증된 노하우가 부족한 전문가들의 난립이 문제일 수도 있다. 대한민국의 축제에 대한 이론과 실무에서 꿰뚫어 볼 수 있는 식견과 세계적인 축제의 연구로 방향성을 제대로 이해하고 있는 축제전문가의 관점에서 비교분석을 하면서 기획, 구성한 기본계획서가 경쟁력 있는 축제를 만들어 갈 수가 있을 것이다. 이러한 노하우가 겸비되어 있지 않은 상황에서 작성된 기본계획서는 추상적인 관계로 절대 경쟁력 있는 기본계획서를 만들어 낼 수 없을 것이다. 결론은 자화자찬인 나만의 축제에서 벗어날 수 없다는 것이다.
5)잦은 인사이동의 시스템에서는 부족한 점을 채워줄 수 있는 축제전문가의 자문과 컨설팅을 받으며 함께 만들어 가는 시스템을 갖추어야 한다. 행정적인 시스템도 전문 노하우의 깊이를 이해하고 현실적인 시스템으로 운영되어야 할 것이다.
6)전문가라고 총감독으로 선임하여 운영하는 총감독체제. 축제전문가라고 위촉하여 자문, 컨설팅을 받으며 운영하는 체제에서 실패하여 불신하는 지자체도 많다. 총감독체제, 축제전문가 선임에서 진정한 축제전문가를 위촉한 것인지 묻고 싶다. 모두가 전문가라고 하는 입장에서 잘못된 전문가를 위촉한 것이 문제일 것이다. 축제의 발전을 원한다면 다분야의 풍부한 이론과 실무에서 검증된 전문가와 함께한다면 실패하지 않았을 것이다. 그 선정기준의 자격에 대해 고민을 하여봐야 할 것이다. 즉 경쟁력 있는 관광축제를 만들고 싶다면 적어도 대형축제들을 수백 회 현장에서 총괄 진두지휘한 노하우와 방송, 기업프로모션, 홍보, 관광, 여행 등 다양한 분야에 있어 풍부한 경험을 갖춘 자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7)전쟁에서 지피지기이면 백전백승이란 격언이 있다. 축제의 기본계획과 실행계획을 작성함에서도 생산적이고 경쟁력 있는 축제를 만들어 가고자 한다면 풍부한 현장의 노하우와 이론적 연구가 뒷받침된 축제 전문가로서 대한민국축제에 대한 분석과 실행 경험이 필요할 것이다. 또한 세계적인 축제의 방향성에 대하여 꿰뚫어 보는 식견을 가진 전문가들이 작성한다면 경쟁력 있는 축제를 만들어 갈 수 있을 것이다. 노하우가 부족한 상태에서 작성하는 계획서는 나만의 축제, 즉 자화자찬의 축제에서 벗어나지 못할 것이다. 요즘은 전문가들이 남발되어 있다. 계획서를 작성하지 못하는 전문가, 입으로만 일하고 대행사 관리밖에 못 하는 축제감독, 전문연출력이 없는 감독들도 많이 있다. 이러한 전문가들하고 함께 한다는 것은 실패란 것이 사전에 예견된 상황에서 강행했다는 것이다.